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2 | 3 | 4 | 5 | ||
6 | 7 | 8 | 9 | 10 | 11 | 12 |
13 | 14 | 15 | 16 | 17 | 18 | 19 |
20 | 21 | 22 | 23 | 24 | 25 | 26 |
27 | 28 | 29 | 30 |
- MKMapViewDelegate
- font book
- CoreLocation
- UICollectionViewFlowLayout
- 클로저의 캡슐화
- App Store Connect
- Xcode
- SwiftUI Boolean 값
- addannotation
- Protocol
- xcode로 날씨앱 만들기
- Required Reason API
- Startign Assignments
- weak var
- Timer
- 단일 책임원칙
- 영문 개인정보처리방침
- WeatherManager
- CLLocationManagerDelegate
- swift
- 서체관리자
- UIAlertAction
- weatherKit
- MKMapItem
- RunningTimer
- dispatchsource
- 러닝기록앱
- AnyObject
- 한국어 개인정보처리방침
- 러닝타이머
- Today
- Total
목록Protocol (2)
VesselWheel

MenuView와 OrderListView 간의 데이터 연결을 위해서 MenuDataDelegate를 약한 참조로 연결하였다. weak var delegate: MenuDataDelegate?는 약한 참조를 사용하여 MenuDataDelegate 프로토콜에서 구현한 객체를 참조하는 변수를 선언하는 코드로 이를 통해 객체 간의 통신을 위임하고, 메모리의 누수를 일으키지 않고 안전하게 처리할 수 있게 된다. 약한참조란?(ps. 미소유참조) 더보기 Weak Reference (약한 참조) 약한 참조는 Strong Reference(강한 참조)와는 달리 객체의 참조 count 증가시키지 않습니다. 객체의 생명 주기에 영향을 주지 않으면서 참조를 유지할 수 있습니다. class Person { var name: ..
import Foundation protocol Eatable { var name: String { get set } var description: String { get set } var price: Double { get set } func displayInfo() } extension Eatable { func displayInfo() { print("\(name) | W \(price) | \(description)") } } 1. protocol Eatable {} Swift의 protocol은 특정 기능이나 속성을 정의하는 방법입니다. 이를 통해 클래스, 구조체, 열거형 등이 이 프로토콜을 채택(conform)하면 해당 프로토콜에 정의된 메서드, 속성 등을 구현해야 합니다. 예를 들어, 여기서..